Showing posts with label Book.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Book. Show all posts

Oct 6, 2006

La Sombra Del Viento/Shadow of the wind/바람의 그림자 2001


Carlos Ruiz Zafon 카를로스 루이스 사폰
사폰이라는 사람에 대해서는 이번에 처음 알게 되었다.친구가 빌려 준 책이기에 약간의 의무감과 흥미, 그리고 친구에게 들었던짧은 이야기만 기억한 채 읽게 되었다. 결론적으로 친구가 말했던 스페인 내전에 관계된 이야기라는 말은 내가 잘못 기억했던 말로 생각되어진다. 단지 그 내전을 소설 시대의 한 배경으로 하고 있음은 사실이고, 친구의 성향상 아마도 정치적 사회적 배경에 대해서 주목을 하고 말했음인 것이라 추측한다.
근 400페이지에 이르는 책 두권으로 이루어진 꽤 두꺼운 책을 약 3일에 걸쳐 쉬엄쉬엄 읽게 되었고, 그 느낌을 몇가지로 적어본다.
첫째 이 소설은 환상과 현실, 허구와 실재, 상상과 추론의 대비되는 주제와 소재를 적절하게 사용하여 독자의 흥미를 이끌어내고, 책, 문학, 독서라는 하나지만 여러가지 형태를 가지기도 하는 매체에 대한 헌사임이 분명하다.
둘째 바람의 그림자라는 중의적 의미를 가진 제목은 이 소설자체와 소설내 소설의 주인공을 현실속에 등장시키면서 그 저자인 훌리안 카락스와 주인공인 라인쿠베르에 대한 호기심과 의문을 배가시키고 있다. 즉 추리소설로서의 일면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바람의 그림자라는 한권의 책, 저자인 훌리안 카락스와 그의 친구들 그리고 다니엘과 페르몬, 베아 , 클라라 등의 관계없어 보이는 모든 사람들이 이 책으로 연결되어 있고책에 대한 호기심은 모든 갈등과 문제를 해결한다. 그리고 권선징악적인 결말은 소설내 불행했던 모든 캐릭터들에 대한 보상일런지도 모르겠다.
셋째 이 소설에서 보이는 여러가지 아버지상들은 하나의 절대선과 비뚤어진 악들로 이루어져서 다니엘의 우유부단하고 허약한 정신에도 불구하고 다른 등장인물들과는 절대적인 차별성을 부여하고 있다. 아버지라는 위치에 대한 인식과 존경의 염 또한 표시하고 있는 것이다.
넷째 잊혀진 책들의 묘지로 대표되어질 수 있는 미스터리한 환상적 장치들은 이 소설이현실에 대한 조금은 덜한 관심을 희석시키면서 소설내 추악할 수도 있는 행태들에 대한 어떤 면죄부를 발부하고 있는 느낌도 들었다.
다섯째 내가 쉽게 간과하는 부분이기도 하지만 스페인 내전과 관련된 시대적배경을 선택함으로써 당시에 문학이, 책이 차지했었던 위치와 순수한 소년과 공권력, 악과 선의 공존이 이루어지고 역전이 이루어지는 시대적 배경에 대한 비판 또한 은밀히 존재하고 있는 것 같다.
여섯째 바르셀로나에 대한 지극한 애정이라고 할 수 있는 것들을 베아 누리아,페넬로페, 클라라와의 사랑을 통하여 아름답게 표현하고 있다는 느낌도 들었다
일곱번째 다니엘과 그의 아들인 훌리안은 마지막에 다니엘이 그의 아버지와 했었던대화를 그대로 재현하고 있다. 달라진 것이라면 여기엔 어머니의 존재유무일 것이다.다니엘이 어머니의 얼굴을 기억함으로써 그는 더 이상 울지 않게 될것이고훌리안은 어머니와의 관계가 더욱 돈독해질 것이며잊혀진 책들의 묘지에서 책을 입양하고 같이 성장해나가는 그들의 환상적모험은 아마도 계속될것인지 모르겠다. 성장소설로서의 일면 또한 강하다는 말이다.
다니엘은 아버지와의 성지순례와 같은 책 입양의식을 통하여 한권의 책을 얻게 된다.그로 인해 일어나는 사건과 이야기들, 또 그의 성장과 사랑에 관한 이야기라고 간단하게 줄거리는정리된다. 어쨌던 소설의 재미는 아주 높은 편이다. 단지 너무 짜여진 구성이라 약간의 작위성을 느끼긴 했지만 어차피 소설이라는 것이 기본적으로 그러하니 이 느낌은 나의 까탈스러움일꺼다.
소설을 한번 휘익 훑어보고 적는거라 단편적인 느낌만 적었으며 나의 소견에 의한 오독과 오해 또한 있을거라 생각된다.어차피 한번에 이해할 수 있는 건 줄거리와 이미지 밖에 없는 지라.다음기회를 기약할 수 밖에 없다. 책을 빌린 것이라 돌려주어야 하지만, 영문으로 된 txt를 구하였고, audiobook 또한 구했으니 시간 날 때마다 조금 씩 읽고 들어볼 생각이다. 다만 원어인 스페인어로는 읽지 못하는 것이 많이 아쉬울 뿐. 다시 읽고 약간은 정리 된 감상을 다시 올려야겠다. 2006-10-06 13:47:36

Aug 16, 2006

[Book] 좀머씨 이야기

Patrick Suskind 파트릭 쥐스킨트

좀머씨 이야기를 4년만에야 읽게 되었다.
읽는데 걸린 시간이 4년이란게 아니라, 읽게 되기까지가 4년이 넘게 걸렸다는 말이다.

2002년 초에 누군가에게서 선물을 받고 읽어야지 하면서 좀처럼 못 읽었었다.
그 이후에는 좀 기피하는 책이 된 사소한 이유가 있었다.

하지만 가지고 있는 책을 안 읽을 수도 없는 것.
내가 궁금한 건 왜 이 책을 나에게 선물했을까이다.
나에게 책을 주면서 꼭 읽어봤으면 좋을것 같다라고 말했었다.

좀머씨는 하루 종일 걷는다. 거의 잠도 자지 않고, 사람들과 교류도 하지 않으며 계속 걷기만 한다.
주인공은 좀머씨가 아니다, 같은 마을에 사는 어린꼬마가 청소년이 되어가는 그 와중의 추억의 한 부분이자 자신만이 알고 있는 사실에 대한 침묵의 이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니 나를 제발 좀 내버려두시오"라는 말을 나라는 화자는 그 아픔과 슬픔에 동화된 적이 있다고 생각하기에 완벽히 이해하고 있다고 느낀 것이다. 그래서 좀머씨의 죽음에 관한 진실은 나만이 알고 있다. 일단은 이렇게 이해를 했다.

글의 역자가 적은 말을 보면 이 소설은 너무도 아름다운 추억에 관한 이야기라고도 표현했고, 좀머씨의 아픔을 2차대전의 피해자로써, 아니면 깊은 아픔이 있는 사람으로 생각이 가능하다라고도 했다.

아름다운 추억이라, 좀머씨에 관한 이야기는 결코 아름다운 추억이 아닌 것 같다. 스스로의 목숨을 포기한 순간 좀머씨의 이유모를 아픔을 이해하고 그 죽음을 방조한 것이 아름다운 건가? 솔직히 자신의 죄에 대한 고백이 아닌가? 좀머씨와 관련 없는 주인공의 일상은 누구나 겪을 수 있고 겪어왔던 미소를 머금게 하는 추억임은 너무도 분명하다, 미스퐁켈의 피아노 레슨, 텔러비젼에 얽힌 이야기들, 아버지의 경마에 관한 이야기, 어린 시절의 어렴푸한 이성에의 끌림과 그 기다림의 설레임은 정말 아름답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나는 슬프다고 생각한다. 모든 것이 아름다우며 되새기고 싶은 추억들이다. 그런데 좀머씨를 떠올리는 주인공은 그 기억들이 아름다울까? 그렇지는 않으리라. 이해를 하고 그 사람이 원하는 것을 했지 않느냐? 그래서 아름답지 않느냐? 라고 생각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주인공은 그의 마지막 순간에 나타난 좀머씨의 불안하고 쫓기는 듯한 모습을 30미터 위 나뭇가지서 내려다 봄으로써 저건 고통이자 슬픔이며 한 없는 공포임을 알게 된 것일 뿐이다. 그 모습을 보면서 주인공은 성장하게 되는 것이다. 이전의 아름다왔던 추억들과 더불어 그의 삶을 결정적으로 이끌어나가는 것은 걸어다니는 좀머씨가 아니라 좀머씨가 걸어다니게 되는 이유와 그 죽음이다. 고통을 이해하게 됨으로써 나라는 주인공은 앞으로 한발짝 나아가게 된 것이다.

아름답기만 한 어린 시절 추억의 이야기는 아니다. 아름답고도 슬픈 "나"만의 성장통을 추억처럼 풀어내는 고백이라고 느끼고 싶은 건 나의 억지일런지도 모르겠다. 좀머씨의 아픔을 상상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나는 더 슬퍼진다.

소설외적으로 궁금한 것에 다시 돌아가 보자. 왜 이 책을 나에게 선물했을까?
나에게 뭘 말하고 싶었을까? 물어볼수 없다는 것이 아쉽기도 다행이기도 하다.
내가 좀머씨의 고통의 실체를 몰랐듯이, 내가 몰랐을 그 슬픔을 나는 보듬어주지 못한 것 같아 더 슬프다.

잘은 모르지만 뭔가 번역이 좀 미흡한 느낌을 받았다. 쳇 원서로 읽었어야 하는데. 독일어라 원서로 읽긴 힘들것 같아 포기.

Jun 24, 2006

Sofies verden : Sophie's World


Sophie's World: A Novel about the History of Philosophy (Paperback)
by Jostein Gaarder
예전에 한 번 읽었던 책을 다시 읽고 있는데 철학의 입문서로서 기능도 가능한 아주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책, 청소년기에 읽으면 좋을 것 같은 책이다. 환상 철학소설이라고 해야 하나, 추리 철학이라고 해야 할지는 모르겠지만, 존재라는 것에 대한 생각의 역사적인 변화와 재미있는 사건의 조화가 잘 된 흥미있는 소설이다. 영문으로 읽긴 했지만, 용어에 얽매이지만 않는다면 지루하지 않게 시간을 보낼 수 있다. 아직 읽고 있는 중이라 책에서 메모한 것들은 다음 기회에

Jun 12, 2006

뇌L'Ultime Secret - Bernard Weber 베르나르 베르베르 - 腦

대충 아래와 같은 용어들과 사건의 해결과정을 통하여 인간의 뇌와 삶의 동기라는 것에 대하여 서술하고 있다. 처음의 흥미진지함과는 달리 후반부는 약간 도식적이라고 해야 하나? 그 끝이 보이는 느낌이긴 하지만. 위의 용어들에 대해서 한번 쯤 찾아보고 생각해보는 정도의 수고만 한다면 그리 시간이 아깝지는 않을 것 같다. 그의 대표작이라고 할 수 있는 개미를 읽어보지 않아 그의 글이 어떤 스타일인지 주요 주제가 무었인지는 모르겠지만 이 작품에서는 삶의 동기에 대해 말하고 있다고 여겨진다. 시간이 나면 다른 작품도 두엇 읽어볼 생각이긴 하지만. 이작품 보다는 조금 더 재미있었으면 한다. 결말이라던가 이야기의 구조가 그리 정교하다는 느낌은 들지 않는다. 솔직히 기대보다는 재미없었다.
-----------------------------------------------
여러분을 이렇게 또는 저렇게 살아 가도록 만드는 주된 동기는 무었입 니까?
아마도 이것이 우리가 스스로 에게 던져야 할 가장 중요한 질문일 것입니다.
-사물엘 핀처가 deep blue IV와의 체스 대결에서 승리 후-

엔돌핀; 몸속에서 저절로 만들어지는 모르핀, 쾌감을 느끼게 하고, 고통을 견디게 하려고 몸이 분비하는 물질. ex> 웃을때, 누군가를 사랑할때, 성행위 도중, 조깅도중 일종의 취기와 같은 상태를 겪는다.

- 근육의 고통을 상쇄하기 위해 몸 스스로 엔볼핀을 만들어낸다. 달리기의 쾌감은 그렇게 간접적으로 생겨난다.-조깅중독의 경우 달릴때의 고통을 상쇄하기 위해 만들어지는 엔돌핀에 중독되는 것이다.

사람의 행동을 이끄는 동기
1. 고통을 멎게 하는 것
2. 공포에서 벗어나는 것
3. 허기를 채우는 것(배고픔), 수면,

따듯함과 같은 생존의 욕구
4. 안락의 욕구
5. 의무감
6. 질투심--확장-- 분노
7. 성애
8. 습관성 물질
9. 개인적인 열정
10. 종교
11. 모험
12. 최후의 비밀에 대한 약속
13. 최후희 비밀의 실제적인 경험
14. 의식의 확대

최후비밀에 도달하는 것 보다 더욱 강한 동기 - 상대방에 대한애정. 사랑.

LOcked-in Syndrome LIS aka
유폐생존증후군
말 그대로 환자가 자기 안에 감금되

어 버린 듯한 상태가 되는 증후군,

뇌는 여전히 기능하는데 신경계통의

여타부분이 더 이상 뇌에 응답하지

않는 상태.

카론
그리스 신화 사자를 태워 저승의 강

아케론을 건너도록 도와주는 노인,

뱃삯을 물고 오는 혼령들만 배에 태

워줌.

사람들이 말하는 고통을 견디기 어

려운 순서
1. 극심한 치통
2. 신장통.
3. 산통(産痛)
4. 배멀미

조건반응
보크라는 말을 열번 되풀이해 보세


바로 수프를 무었을 먹죠라고 묻는

다.
그럼 거의 포크라고 대답한다(아마도

외국의 경우인듯)

대뇌피질(대뇌피질)
우리의 생각이며 언어가 형성되는

곳.인체의 모든 고등기능을 담당하는

곳.

변연계(邊緣系)
희로애락,공포 같은 감정의 배태되고

무르익는 곳
-포유류의 뇌.

대뇌피질이 인간의 특성을 잘 보여

주는 뇌라면 변연계는 포유류의 특

성을 보여주는 뇌.

해마(海馬)
대뇌피질 밑에 있는 부분.-우리의

개인사가 기록되는 곳
해마는 새롭게 수용된 감각정보를

이미 저장하고 있는 과거의 모든 정

보와 비교하는 역할

뇌량(腦梁)
대뇌의 두 반구를 연결하는 희끄무

레한 물질
-논리적인 사고와 시적인 사고가 결

합될 수 있는 것.

시상(視床)
뇌량 밑에 있는 달걀 모양의 회색질

구조가 좌우에 하나씩 있다. 후각을

제외한 모든 감각 정보가 여기에 모

였다가 대뇌피질의 해당 감각 영역

으로 들어감.-신경계 전체의 검문소

시상하부(視床下部)
조절의 중추. 우리 내부의 생체시계

가 24시간 내내 우리의 생체리듬을

조절하고 우리 혈액에 산소와 물이

부족하지 않은지를 감시. 배고픔이나

목마름을 느끼게 하는 곳.사춘기를

나타내게 하고 여성의 월경주기와

수태를 조절하는 역할.

뇌하수체(腦下垂體)
시상하부의 요구를 수행하는 내분비기관. 이 콩알만한 분비샘이 감정과 관련된 여러가지 호르몬을 혈액에 공급함으로써 우리로 하여금 외부의긍정적인 자극이나 부정적인 자극에 반응할 수 있게 해줌.

텔레비전의 영향
1. 유행을 수동적으로 따르도록 유도

(소비유도)
2. 개인들의 고립화를 조장.- 식사

시간의 대화단절- 생각의 획일성을 유도

우리는 무엇에 이끌려 행동하는가?

에피쿠로스 - 매 순간을 한껏 즐기


스토아학파 -
오리게네스 -
마르탱이 컴퓨터를 이용해서 적은

내면의 세계에서
<우리 인간이 할 수 있는 것은 세

가지밖에 없다. 행위와 말과 생각이

바로 그것이다. 사
람들이 흔히 생각하는 것과는 달리,

내가 보기에 말은 행위보다 강하고

생각은 말보다 강하
다. 무엇을 짓거나 허무는 것은 행위

이다. 하지만 시간과 공간의 광대함

속에서 그것은 별다
른 의미를 지니지 못한다. 인류의 역

사는 환호성 속에서 건설되었다가

눈물 속에서 폐허가
된 기념물들의 연속일 뿐이다. 그에

반해서 생각이란 건설적인 것이든

파괴적인 것이든 시
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무한히 퍼져

나가면서 무수한 기념물들과 폐허들

을 낳는다.>

관념권(觀念圈)-리처드 도킨스
생물권이 생물의 세계이 듯이 관념

권의 관념의 세계이다.
관념은 끊임없이 진화하고 있으며

전파되고 여러 매체를 통하여 중계

되고 확대된다. 관념은 재생산되면

사제들이 살아가는 공간과 시간에

맞도록 재해석된다.
관념은 생성하고 발전하고 소멸한다.
ex) karl Marx의 공산주의라는 관

념은 단기간에 퍼져 공간적으로 지

구의 반에 영햐을 미쳤다. 이 관념은

진화하고 변하하다 결국 멸종위기에

처한 동물종 처럼 쇠퇴하여 갈수록

소수의 사람들에게만 영향을 미치며

그 과정속에서 자본주의라는 관념에

도 변화를 일으켰다. 관념권에서 벌

어지는 관념들간의 투쟁에서 우리의

말과 행위가 나타나고 결국엔 우리

의 문명이 생겨난다.
이러한 관념권이라는 개념은 컴퓨터

즉 인터넷이라는 네트웍을 통하여

그 이동과 변화가 가속화 되고 있다.

우리 모두가 선입관의 체계에 얽매

여 있다는 생각이 들어요,우리는 현

실에 대해 미리부터 가지고 있는 어

떤 생각들을 계속 유지하면서 현실

을 그 생각들에 꿰어 맞추려고 한다.


사람은 감각을 통해서 뭘 느끼는가?
느끼기 위해서 감각이 필요한 것인

가?
닭과 달걀의 관계일까?
시각촉각후각청각미각 이런 오감외

에 육감이 아닌 호기심이라는 정보

충족 습득의 욕구가 차단된다면,
아니 이러한 오감 역시 정보획득을

위한 것이라고 가정한다면.

goiTejs 논리적 추론과정

제임스 올즈

MFB 곧 정중 전뇌 관속
쾌감의 중추

송과체- 송과선, 또는 솔방울샘이라

고도 해.사람의 분비샘 가운데에 가

장 작은 것이지 무게는 0.16그램쯤

되고 색깔은 적색, 모양이 작은 솔방

울처럼 생겼다고 해서 솔방울샘이라

는 이름이 붙음. 17c 데카르트는 이

것이 영혼의 중심이라고 생각했음.

송과체를 훈련시키는 일은 쾌감 중

추를 길들이는 길이기도 함.
송과체란 최후 비밀의 한 매개일 뿐.
송과체의 크기는 무게가 40그램이

다 열두살 무렵 성장이 정지하고 그

뒤로는 크기가 차츰차츰 작아진다.
내분비샘은 사춘기와 관련이 있다고

보기도 한다.

195년대 송과체에서 두가지 물질이

생산된다는 사실 발견, 멜라토닌과

디에티, 즉 디메틸트립타민이 생성된

다.


올더스 헉슬리는 환영으로의 현상세

계를 벗어나는 그 초월의 경계를 일

컬어 지각의 문이라고 불렀음.짐모리

슨의 록그룹 "the doors"도 거기에

서 나온 것임.

7대 중죄
탐식,사치,분노,나태,인색함,교만,그

리고 시샘.

Apr 15, 2006

Da Vinci Code - Dan Brown


처음 이 소설을 읽었을 때는 원서도 국내에 제대로 들어오지 않았고, 내용에 관해서도 아무것도 몰랐다. 그냥 하도 많이 팔린 책이란 또 재미있다는 소문에 번역본을 기다리지 못하고, 어둠의 경로를 통해 전자파일을 구해서 모조리 프린트를 하고(물론 내껄로 하지는 않았다, 책을 사고 말지), 오디오북을 구해서 mp3player로 듣고 프린트를 읽으면서 약 2주에 걸쳐서 열심히 읽었는데 참 재미있게 그리고 작가의 상상력이라고 할까 응용이라고 할까. 그런 것에 감탄했었던 기억이 난다.
덕분에 이 작가의 나머지 작품도 모조리 원서로 구해서 읽었었다. 그런데 지금은 내용이 잘 기억이 나질 않는다. 역시 영어로
읽은 한계라고나 할까.
조금 있으면 영화로도 나온다고 하는데
주연배우 캐스팅에 약간의 불만을 가지고 있다. 톰행크스와 오드리보다는 남자배우는 제끼고 여자배우는 소피마르소가 어울리지 않을까하는 개인적인 바램을 가지고 있었다. 그래도 기다려지는 영화 중의 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