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posts with label series.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series. Show all posts

Feb 25, 2007

최근 보는 드라마들

Shark S1
악명을 날리던 변호사에서 검사로 변신한 샤크라는 별명을 가진 James Woods주연의 수사+법정물, 매력적인 캐릭터의 주인공과 현실적인 스토리라 느껴져 즐겨 본다.

Heroes S1
어설픈 영웅액션물이 아니다. 꽉 짜여진 구조의 스토리와 로스트를 능가할지도 모를 주인공들의 난립속에서도 앞으로의 이야기가 항상 기대될 수 밖에 없는 최고의 관심작.

Rome S2
2년만에 돌아온 루시어스와 폴로,
시저의 죽음이후 옥타비아누스와 안토니우스를 둘러싼 로마이야기. 그 와중의 삶을 헤쳐 나가는 두 주인공의 행보와 로마의 앞날을 막대한 물량과 함께 풀어나가고 있다.
매력적인 캐릭터, 훌륭한 연기. 시즌 2로 끝난다는 말이 있어 아쉽다. 루머이기를..

24 S6
최고의 실시간 액션드라마. 이제 스토리는 거의 떨어져 가지만, 그래도 24이기에 볼수 밖에 없는.

Grey's Anatomy S3
현재 미국최고 인기 드라마, 의학드라마이지만 연애드라마이기도하면서 사람살아가는 냄새가 난다고나 할까?

NCIS
나와는 취향이 잘 맞지 않는 CSI와 달리 시트컴을 보는 듯한 해군범죄수사물.
마크하몬의 제스로우 역할은 카리스마 최강.

이외에도 가끔씩 체크하는 드라마들이 있지만 위 드라마들은 매주 볼 수 밖에 없다.
Battlestar는 잠깐 묵혀 두는 중..

아 그리고 미국최고 인기 쇼인 American Idol S6를 본다. 이번 시즌에는 완소캐릭이 아직 보이질 않는다. Eliott Yamin이 그리워진다. 나름대로 흥미있게 보는 Tv Series

Nov 11, 2006

Macros Zero 2002



마크로스 시리즈를 본적이 있었다.
아마 그것도 이 작품처럼 ova였을 걸로 기억한다.
제목은 잘 모르겠지만.
재미있게 보았었다.

물론 많은 사람들이 아는 민메이가 나오는 작품은
기억은 어렴풋이 나지만 인상깊지는 않다.

마크로스에는 중심이 되는 것이 있는 것 같다.
노래가 극의 중심이 되며 전개의 주축역할을 한다.
그리고 삼각관계.
대립이 되는 두 진영의 싸움.
짧긴 하지만 이 작품에도 그것은 다 녹아들어 있는 듯
사라와 마오의 노래, 마안섬 사람들의 노래가
새사람을 깨우며, 이야기의 중심축의 방향타역할을 한다.
삼각관계야. 신, 마오 그리고 사라로 이어지는 것이고
대립각은 두개가 존재한다. 이 작품에서는
1. 반통합연맹가 통합연맹
2. 새사람으로 표현되는 이계 생명체와 추악한 인류.
새사람은 창조주 또는 파괴자로서 기능을 하는 것 같다.

마안섬 사람들은 숲과 바다만 있으면 모든 것이 충족되지만
인류의 편리추구라는 이익추구라는 이기심의 전파는
모든 사람들에게 어떤 강박관념을 준다.
남보다 나아야 한다는, 남이 나보다 나아서는 안된다는
자신이 우월하기 위해서는 남을 짓밟아도 당연하다는
강자존의 법칙을 따르는 것도 같다.
약육강식의 자연법칙과 얼핏 닮아도 보이지만 전혀 아니다.
인간은 배고프지 않아도 남을 해치며 그것을 계획한다는 것이 차이점이다.

마안섬에 들어온 전기와 외부인들은 마안섬을 순수하게 돕는 것이
아니다. 자신의 이익을 위해서 섬사람들에게 이익과 편리를
가르친다. 그들이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해서.
결국 마안섬은 그들이 원하는 것을 빼앗기며
기화폭탄의 재앙을 맞는다.

기화폭탄, 반응탄등 새사람과 마안을 공격한 무기들의 방향성에서
두 연맹은 동시에 악일 수 밖에 없다.
아니 너무 인간적일 수 밖에 없다. 인간이 걷는 길을
객관적으로 보거나 제3자의 입장(가령, 식물, 동물과 같은)에서
본다면 세상에 존재하는 유일악이며 절대악일 수 밖에 없지 않은가?
게다가 다른 존재를 용납하지 않는 오만과 폐쇄성 역시 말이다.

결국 그들은 새사람으로 상징되어지는 절대적 가치 앞에서
멸망의 길을 향해 고속질주하고 있지만
그들을 구해준 것 역시 몇몇 사람들의 선한 마음이었다.

아마도 인간들은 과거에도 그렇듯이 앞으로도 마찬가지로
스스로를 제약하며 앞으로 나아가려고만 할 것이다.
그 앞날이 어떻게 될런지는 모르겟지만

이런 생각이 얼핏 들었다. 보고 난 후에 말이다.

작품의 내용적으로는 복잡한 내용도 없고
proto-culuture 어쩌구 하는 외계인의 바이러스에 의한
급격한 인간 진화론과 같은 것이 나오며 그에 따라
각각의 마야 잉카 이집트 등의 고대 문명이 기반을
하고 있다는 가정하에 작품은 시작된다.
절대권력과 절대적 가치는 폭력에서 나올수 밖에 없다는 것을
인정하듯이 그들이 남기고 간 마지막 억지력 역시
새사람이라는 궁극의 병기이다.

그것을 둘러싼 이기심의 충돌을 재미있게 보았다.
a-force로 불리는 zero기와 반통연의 기체등
누군가 표현한 것처럼 정확한 뜻은 잘 모르겠지만
간지가 넘치는 외향을 갖추고 있으며
작화의 퀄리티는 그것을 제대로 표현해준다.
비주얼 적인 면에서는 탁월하다고 말할 수 밖에 없다.
내용적인 면과 스토리의 전개는 부족하다고 느끼지만 말이다.

마크로스가 앞으로 어떤 식으로 계속 나올런지는 모르겟지만
일본을 대표하는 아니메 프랜차이즈 중 하나인 것 같다.
(건담시리즈, 공각기동대 시리즈, 정도가 생각난다. 앞의 두작품에
비해서 조금 부족함이 있긴 하지만 말이다)

한 3시간 정도 시간이 있다면 이작품을 보는 것이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을 것 같다.


아래는 Youtube에 있는 저화질 본편 동영상이다.


Macross Zero ep-01


Macross Zero ep-02


Macross Zero ep-03


Macross Zero ep-04

Macross zero ep-05
1


2


3

Oct 29, 2006

[TV] Alias 2001-2006

JJ Abrams

Jeniffer Garner

season 4 이후로 좀 맛이 가긴 하지만
3편까지의 재미는 상상초월.

람바디유물을 둘러싼 브리스토 일가와 각 정보국의 얽히고 설킨 관계.
제목 그대로 진실한 정체를 보이고 있는 건 하나도 없다.

2006-10-26 18:37:38
드디어 Alias를 다 보았다. Season4의 조금은 엉성하고 꼬이기만 하는 전개에
4는 제대로 보지 않았지만 이왕 시작했던 것 마무리나 하자는 생각에서,
또 람바르디 아티팩트의 진실과 극이 어떻게 결말을 지을 것인가 궁금해서였는데.
5는 그런대로 재미있게 보았지만 람바르디나 Prophet 5에 관한 진실은
두리뭉실하게 넘어가는 것 같다.
그리고 엉성한 몇몇 단서들의 설정은 치명적 약점이기는 하다.
극을 급하게 마무리하려고 한 티가 역력히 나타나기도 한다.
시드니의 진실한 정체성, 어빈슬론과 시드니 엄마가 추구한 것은 각각 다르게
보인다. 하지만 그들이 추구한 것은 결국 람바르디를 통한 파워의 구축과
세계질서의 재구축인 것으로 드러나긴 하지만.
왜라는 의문을 해결해주지 않고 끝나게 되어서 아쉽기만 하다.
람바르디 아티팩트는 불사의 비약인가? 파멸의 무기인가?
자연의 질서를 재구축 파괴할 수 있는 중세의 유물을 둘러싸고
그것을 차지하기 위한 세력들, 개인들
거기의 중심에 자리하고 있는 본 부자와 브리스토 가족의 이야기이다.

시즌 4가 제대로 아귀를 맞추었다면 5에서 대미를 작성할 수 있었을 텐데 하는 아쉬움이 크다.

다크엔젤이후 아마 미국드라마로서는 세번째로 접했던 이 첩보드라마는
초창기 굉장했던 흥미요소를 끝까지 전개시키지 못하긴 했지만
재미있게 볼수 있어서 즐거웠다.

아참 또 아쉬운 건 제니퍼 가너가 출연도중 출산하는 바람에
똥배나온 여자주인공을 보게 되었다는 게 영 그렇다.
가너의 몸매 보는 것도 재미였는데 쩝. 5는 절대 그런게 없다. 젠장.

Aug 3, 2006

Battlestar Galactica (1978) (TV)

http://www.imdb.com/title/tt0077215/


흑인 부머와 남자 스타벅, 확실한 배신자 발타. -tv series와 의 차이점.
모든 생명체를 말살하려는 사일런.

여기에 대항하는 인류의 마지막 희망 "갤락티카"

이들은 인류의 모성인 "지구"를 찾아 떠나는 길을 가게 되는데.

배틀스타 갤락티카 시리즈의 원조격 TV 영화.

모세가 유대인을 이끌고 젖과 꿀이 흐르는 땅을 찾아 광야를 헤메는 것에 모티브를 얻은 것 같은 설정.

노아의 방주를 연상시키는 갤락티카와 일련의 우주선단들.

그 속에 펼쳐지는 인간의 탐욕과 생존, 투쟁 등을 보여주려고 했는데

이 영화에서는 초반부의 박진감과 흠미가 뒤에 가면서 다 소멸 되어 버린다.

단지 즐거웠던 건, 앞서 말했듯 드라마시리즈와 다른 인물들의 모습과 전개이다.

시리즈에선 인공생명체인 사우론의 모습이 여기서는 단지 로봇군단 정도로만 보이며

정확한 정체는 나오지 않는다. 발타박사는 영화에선 배신자로서 당연한 최후를 맞고

아마다 함장의 사려깊음과 카리스마는 전혀 나오지 않는다.

아폴로만이 더욱 확대된 역할을 가지고 있다.

TV드라마의 내용과 전개가 훨씬 흥미스럽고 곧 시작할 시즌 3를 보는 것을 대비해 봐 줄만하다.

Jul 16, 2006

Lucky Louie 2006 (HBO)


premier의 시작 부분 " Why"


"Catch me"

한쪽에서 O.C 니 Beverley Hills 90210같은 부유층 삶에 대한 동경을 막 퍼뜨리고 있을 때,

Friends, Sex and the city등의 시트콤이 미국 중산층 삶은 이런거야 하고 웃길 때,

위의 드라마들이 미국에서 생활이라는 측면을 무시하여, 미국시민과 동시에 우리같은 타국인까지 그들의 삶을 오해하게 만들때.

전혀 꾸며지고 포장되어지지 않은 미국 저소득 계층의 실제 삶을 보여주는 시트콤이 드디어 나왔다.

전혀 여과되지 않는 비속어, 욕, 섹스 그리고 미국 비판.

너무나도 솔직해서 오히려 당황스러운 쇼.

우리네 삶도 결국은 저렇지 않은가? 우리 드라마에 보이는 사랑타령, 신데렐라 스토리 이제 지겹다. 그래서 한국드라마는 나의 기피 대상 중 하나이다. , 시사프로그램, 사건 사고 뉴스등 일상생활에서 늘 접하는 것들이 우리가 끼고 살고 있는 TV에서는 금기시 된다. 국가에 대한 비하, 늘 쓰는 말들도 정화를 거쳐야하만 한다. 또 그것을 당연시하게 느끼고 그것을 벗어나면 스스로 자정하려고 한다. 이 얼마나 웃기는 일인가? 스스로를 부정하고, 단방향적으로만 이끄는 이 가식의 정형화된 세계에서 우리는 살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이 쇼가 맘에 든다.
그 욕이 맘에 들고, 거기에 들어 있는 사상이 맘에 든다는 것이 아니다.
이렇게 여과되지 않고 있는 그대로 뭔가를 까댄다는 것 그 것 자체가 너무 맘에 든다.
아니라고?
그래도 지켜야 할 건 있다고?
그래 그럼 그렇게 생각해라.

가끔은 솔직히 발산하라. 자신을 드러내고 발산하는 것을 이 사회는 꺼려한다. 그래 나도 마찬가지다. 그래서 나는 이러한 틀을 깰 수 있는 사람들이 부럽다. 물론 이해 못 할때도 있다. 하지만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원래 우리는 죽은자만 기억하려고 한다. 그래서 살아남은 자들은 슬픈걸까? 그러면 죽은자는 기쁜가?

크크 이런 이분법적 사고라니.

우리는 그렇게 생겨먹었다. 인정하라.
we shoud admit the truth of our fucking lives.

May 6, 2006

Ghost in The Shell 攻殻機動隊 - Stand Alone Complex

예전에 보고 최근에 한 번 더 보게 되었는데 참 마음에 드는 애니메이션이다. 생각할 여지를 준다고나 할까.
Kanno Yokowiki의 음악은 Cowboy Bebop이 최고이긴 하지만 이 음악도 좋다.
Shiro Masamunewiki의 원작 만화도 훌륭하고 재미있다.
Ghost in the shellimdbs 극장판의 경우에는 시대를 앞서 간 최고의 애니라고 할 수도 있고(매트릭스와의 관련은 언급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하지만 이상하게도 Innocenceimdbs의 경우에는 몇 번 보려고 했는데 그때마다 잠들어버렸다. 다음 기회에 다시 한번 시도를 해봐야 겠다. 애니메이션을 보면서 용어라던가 주제에 대해서 심각하게 고민할 필요까지는 없겠지만 이런 것에 대한 정의를 알고 본다면 재미가 배가 되지않을 까 생각해본다.
그래서 Wiki나 imdb등에서 서핑한 걸 링크도 걸어보고 허접하나마 독해 해놓은 걸 올려본다(막상 올리고 보니 영어가 더 쉬운 것 같다. 국어 공부를 열심히 했어야 한다는 생각이 불현듯)


Ghost in the Shell Stand Alone Complex Op


Ghost In the Shell Stand Alone Complex Ending


스탠드 얼론 컴플렉스 허접 독해
단체또는 개인이 조직화되고 병렬화된 행동에 개입하게 될때 나타나는 이론적 관념이며, 각각의 행동은 실제 독특한 개별적 동기들에 기초하여 이루어진다. SAC는 애니메이션 시리즈 Ghost in the Shell: Stand Alone Compex에서 다루어지고 유명해진 주제로써 이 애니는 인공두뇌 적용(전뇌화)에 따른 여러가지 문제를 다루고 있다.이 시리즈에서는 SAC를 원형과 관계없는 복제 또는 최초의 범죄와 관계없는 모방범죄, 다른 말로는 상상 범죄로도 묘사하고 있다.
이 컴플렉스는 Jean Baudrillard의 작업에서 묘사된 것 처럼 두 번째 허상,카피 등으로 나타난다. 실재적으로, 원형의 복제된 실체로 나타나는 것들은 더 이상 그 실체 자체를 묘사하거나 복제하지 않고 그 자체를 나타낸다는 것이다(복제 자체가 새로운 원형이 된다는 말인 것 같다). 마찬가지로 SAC에서 관찰되어진 행동에서는 직접적인 실제세계의 선동은 없다는 것이다.

Stand Alone Complex in Wikipedia
This is a theoretical mental complex that arises when groups or individuals engage in seemingly organized or coordinated behavior when really, each is acting on unique personal motivations. Stand Alone Complex, likely coined by and popularized by the anime series Ghost in the Shell: Stand Alone Complex, is in the series attributed to the adaptation of cybernetics into the mass public. In the series' story, Stand Alone Complex is said to describe copies with no original and is portrayed by copycat crimes with no original criminal or, in other words, an imaginary criminal. In this fashion, the complex arises as a second-order simulacra, as described in the work of Jean Baudrillardwiki. In essence, an idea taken to represent reality is simulated or modelled, causing the simulation or model to no longer describe reality directly. Similarly, in a Stand Alone Complex, there is no direct real-world instigator in the observed behavior.

Apr 29, 2006

Paint It Black

내가 이 노래를 처음 들은 것은 아마도 머나먼 정글이라는 제목으로 우리나라에서 방송했던 Tour of Duty 였던 걸로 기억한다. 하도 오래 된 드라마라 이제는 내용도 기억이 나진 않지만, 방영시간이면 tv앞에 나를 붙잡아 뒀던 몇 안되는 드라마 중 하나이다. 거기에서 Paint it black과 holding out for a hero를 듣게 되었고 좋아하는 노래 중 하나가 되었다. 그러다 Cowboy Bebop(내가 가장 좋아하는 Animation series중 하나)에서 이 노래를 또 듣게 되었다. 나온지 엄청나게 오래된 팝이긴 하지만 아직도 질리지가 않는 노래 중 하나. 또 가사가 그렇게 가볍지 않은 것도 하나의 이유라고나 할까? Rolling Stones에 대해서 잘은 모른다. 다만 몇몇 노래를 알 뿐이긴 하지만 이 할아버지 그룹은 아직도 건재하다. 오랫동안 꾸준하다는 것은 그것 만으로 가치가 있는 듯.

각설하고 가끔은 세상을 물들이고 싶다. 그 것이 아무 의미가 없더라도. 나만의 잣대만으로.
내가 가장 좋아하는 색깔 Black으로. 검정 까망 흑색 깜장 아냐. 칠흑이라는 말이 가장 어울리는 것 같다. Paint it Black에서의 black은 내게 있어 칠흑의 어둠이다. 멀리서 어렴풋이 빛을 품고 있는.





(m. jagger/k. richards)

I see a red door and I want it painted black
No colors anymore I want them to turn black
I see the girls walk by dressed in their summer clothes
I have to turn my head until my darkness goes

I see a line of cars and they’re all painted black
With flowers and my love both never to come back
I see people turn their heads and quickly look away
Like a new born baby it just happens ev’ry day

I look inside myself and see my heart is black
I see my red door and it has been painted black
Maybe then I’ll fade away and not have to face the facts
It’s not easy facin’ up when your whole world is black

No more will my green sea go turn a deeper blue
I could not foresee this thing happening to you

If I look hard enough into the settin’ sun
My love will laugh with me before the mornin’ comes

I see a red door and I want it painted black
No colors anymore I want them to turn black
I see the girls walk by dressed in their summer clothes
I have to turn my head until my darkness goes

Hmm, hmm, hmm,...

I wanna see it painted, painted black
Black as night, black as coal
I wanna see the sun blotted out from the sky
I wanna see it painted, painted, painted, painted black
Yeah!

Apr 15, 2006

Dark Angel

처음엔 James Camrone이라는 이름 땜에,
드라마를 보고서는
Jessica Alba의 매력과 극의 재미에 빠져든.

Apr 11, 2006

unfairアンフェア 2006



별 기대 없이 봤는데 아주 흡족하게 본 일본 드라마, 일반적인 일본드라마를 보는 느낌이 아니라 미국드라마를 보는 듯한 스피디한 전개. 물론 복선의 중첩과 약간 어설픈 꼬임으로 인해 집중을 조금 방해하긴 하지만, 이 정도의 재미라면 참고 봐줄 만하다. shinohara ryoko를 전에도 몇번 본것 같은데 여기에서는 최적의 배역을 맡은 듯, 악녀전문인 yonekura ryoko와는 다른 의미에서의 선이 강한 일본여배우라는 느낌. (그러고 보니 이름이 같군)
unfair한 것은 누구인가? unfair에는 unfair로
재밋게 시간을 죽일 수 있는 드라마일듯. 추천을 살포시. 얼마 전에 본 짐승의 길과 비교하면 이 쪽에 손을 들어준다